소장전시품

  • 서브홈페이지 홈
  • 소장품
  • 소장전시품
조선통보(가는 테두리)

조선통보(가는 테두리)

국명:
조선통보(가는 테두리)
영문:
 
형태:
 
소장:
문예역사관
구분:
동전

상세설명

<정의>

조선시대 화폐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옆모양이 넓은 것과 가는 것으로 나누어 지는데 위 유물은 테두리가 가는 조선통보이다.



<세부사항>

*조선통보

세종 5년(1423년)조선시대 최초의 동전인 '조선통보'의 발행 하였다. 정부는 조선통보의 유통을 촉진하기 위하여 '조선통보 전용령'을 공포하는 등 다방면으로 노력하였으나 잘 유통되지 않았다. 당시 사람들은 면직물류의 포화가 주로 유통되고 있었으며, 소액 거래에는 미두(米豆)가 사용되었다.



<발달과정 및 역사>

*조선통보의 역사

1425년(세종7년)에 주조된 것으로서 10돈중을 1냥으로 하여 저화와 함께 유통되었다. 조선전기를 대표하는 동전이지만 유통은 그리 활발하지 못하였다. 조선통보가 주조된 것은 액면가치가 큰 저화만으로는 소액거래가 불편했기 때문이다.

이 때 발행된 동전이 바로 해서체의 조선통보라는 글자가 새겨진 것으로서 중국동전에 비해 손색이 없고, 매우 정교 하였다. 발행 당시 저화를 고액 거래에, 그리고 조선통보를 소액거래에 사용 할 예정이였으나, 1425년 조정에서는 그때까지 사용되던 저화 대신 동전만을 사용하게 하고 저화 1장에 조선통보 1문을 교환해 주었다. 조선통보의 교환가치는 발행 초에 면포1필 당 20여문이였으나 2년 뒤인 1425년 6월에는 300~400문으로 하락했다. 정부는 이러항 동전의 가치 하락이 공급과잉에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동전 공급을 중지 하였으나, 그 원인이 명목가치가 실질가치보다 높은데서 생긴 것이였기 때문에 도리어 조선통보에 대한 불신감만 조성되었다.

당시 동전의 주요 원료인 구리는 주로 일본에서 수입하는 처지였으므로 동이 부족한 실정이였다. 때문에 1423년 11월~1427년1월 사이 동전주조의 총액은 약 40만냥에 불과했고, 이 중에서 시중에 유통된 것은 10만냥 뿐이였다고 한다. 이것은 동전이 화폐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에는 너무도 부족한 양이였다. 민간보다 조정이나 고관집 등에서 널리 사용된 조선통보는 1445년 이후 저화의 재발행으로 인해 버림받는 처지가 되었다가 1633년에 팔분서체로 다시 주조되었다.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