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설명
<정의>
조선시대 엽전 모양의 장식품 혹은 기념화폐
<세부사항>
*열쇠패
열쇠패는 일면 개금패(開金牌)라도 부르고 있다. 고종조(高宗朝) 전후에 만들어진 열쇠패는 조선왕조 후기의 상류사회에서 신부의 귀중한 혼수품으로서 가보처럼 애장되었다. 이 열쇠패는 불길(不吉), 불상(不祥)을 제방(除防)하려는 길상희원적 우의(吉祥希願的 寓意)가 다분히 의장화(意匠化) 되었고 그 형태는 각형(角形)과 원형, 방형(方形), 주머니형, 용형(龍形) 및 나비형 등으로 구분하며, 형태와 구도 및 문양 등은 왕가 열쇠패를 비롯하여 10여개의 형태로 나누어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열쇠패는 중국과 일본 그 밖의 다른 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하고 희귀한 대형 기념화적 성격을 지니고 있어 우리 선대의 얼과 손때가 묻은 장식고민구(裝飾古民具) 내지 실내장식 문화재라고 해야 할 것이다.
*별전
별전은 중국으로부터 고려로 전래되어 만들어졌으나 조선 숙종 4년(1678)때 본격적으로 만들어졌다. 원래는 상평통보를 만들 때 그 구리의 질·무게 등을 시험하기 위한 용도로 만들어졌지만, 일종의 기념주화라고 할 수 있다. 개인이 주조해 쓸 수도 있었으나 정상적인 주화인 상평통보처럼 통용되지는 않았다. 주로 왕실이나 사대부 등 상류층들이 소장하는 패물이나 애장품이었다.
별전에는 길상 문자를 비롯한 여러 문양들이 사용되었다. 별전에 나타난 붕어문양은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강해 기운이 세고 유연한 모습에서 여유로움을 상징하기도 하며, 새끼를 많이 낳는 다산의 의미와 공명출세 그리고, 부귀를 상징한다.
별전은 조선 말기에는 여러 개를 묶어 만든 열쇠패가 상류사회에서는 혼수품이 되기도 하였으며, 별전에 노리개·열쇠 등을 매달아 행운을 기원하기도 했다. 이처럼 별전은 실용성보다는 길상을 뜻하는 문자와 형태를 가진 장식품의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은행, 증보 한국화폐사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