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전시품

  • 서브홈페이지 홈
  • 소장품
  • 소장전시품
대평원

대평원

국명:
대평원
영문:
 
형태:
 
소장:
문예역사관
구분:
수석

상세설명

산수경석이며, 수집지는 충북단양 이다. 암석의 분류로는 화성암에 속하고, 모양은 넓은 대평원의 형상을 하고 있다.

◎ 수석 개설

- 정의

수석이란 자연의 아름다움과 축경(縮景)의 오묘함을 야외에 나가지 않고 실내에서 일목요연하게 감상할 수 있는 작은 돌.

- 개설

수석은 자연이 빚어낸 최고의 걸작으로, 인간에게 주어진 마지막 유산이라고도 하고 신이 만들어 낸 예술품이라고도 한다. 사람의 힘으로는 창조할 수 없는 수석의 세계는 철학의 빈곤을 느끼며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신비하고 오묘한 동양 사상을 고취시키는데 일조한다고 할 수 있다. 수석의 종류는 크게 산수경석, 형상석, 문양석, 색채석, 추상석, 전래석, 괴석, 무늬석, 물형석 등으로 분류되며, 그 돌이 나오는 지방의 이름을 붙여 산지(産地)를 밝히는 것이 통례로 되어 있다. 즉 충주 지방에서 나오는 돌이면 충주산, 점촌 지방에서 나오는 돌이면 점촌산 등으로 산지(産地) 이름을 따르게 된다. 그러나 요즘은 돌이 나오는 강 이름을 붙여 남한강산이니 농암천산 또는 태화강산 등으로 강 이름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그 장소와 지형에 따라 강돌[江石], 산돌[山石], 바닷돌[海石]로 나뉜다.

- 발달과정/역사

중국의 최고 지리서인 《서경》(약 3,000년 전 씌어졌다 함) 우공편에는 괴석(怪石)에 대한 기록이 나오며, 우리나라도 멀게는 신라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한다. 가깝게는 조선시대초기의 강희안(1417-1464)의 양화소록에 유명한 말이 있다. 그는 이렇게 말하였다."괴석(怪石)은 굳고 곧은 덕(德)을 가지고 있어서 군자의 벗이 됨에 마땅하다." 우리의 옛 동양화에서 선조들이 남긴 허다한 괴석도는 선비의 애석 자취를 넉넉히 반영해 주고 있으며 분에 올려놓은 괴석(수석)을 방안에 배치한 옛그림도 발견되고 있다. 또 서민층에도 널리 퍼져있던 민화에도 애석하여 온 자취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이따금 우리 선조들이 옛날에 사랑하였던 전래석이 세상에 가끔 밝혀지고 있으며, 고궁인 창경궁을 찾으면 궁중에서 누렸던 수다한 전래정원석을 구경 할 수가 있다. 우리역사에 이름을 남긴 유명한 분들도 애석생활을 하셨다. 예를 들면 이퇴계(1501-1570)는 문양석을 좋아했다 하고 다산 정약용(1762 - 1836)이 강진에 귀양가서 직접 탐석하며 수석을 아꼈던 기록, 추사(1786-1856)역시 열렬히 애석(愛石) 하였던 분이셨다 한다.

- 산수경석(山水景石)

산이나 호수, 섬, 해변 등 자연의 아름다운 정경을 연상시킬 수 있는 돌로서 어떤 의미에서는 수석의 주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는 실제약간의 차이가 있다. 산돌은 오랜 세월 동안 비바람의 풍화 작용으로 거칠고 모가 나 있는 것이 특징이다.

- 평원석(平原石)

넓게 펼쳐진 평야 저쪽 끝에 어렴풋이 보이는 언덕이나 산봉우리가 원경(遠景)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돌의 면이 넓은 평야를 이루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주는 돌을 말한다. 감상자에 따라서 수평선을 연상하는 사람도 있다. 평원석은, 언덕이나 산 기슭의 기복이 평야와 조화 있게 맞닿아야 이상적인 평원석이라고 할 수 있는데 아득히 보이는 산과 평야와의 높이 비율은 5 : 1 정도가 좋다. 산이 높으면 그에 비례해서 평야의 넓이도 더 넓어야 바람직하다.

<참고문헌>

두산백과사전 / http://www.suseokmart.co.kr /

장준근, “수석”, 대원사, 1992
목록으로